정죄를 하지 말아야하는 이유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뉴스를 장식하는 것의 대부분은 부정적인 것에 대한 것이다.
비록 사이버 상이지만, 부정적인 상황의 주인공은 공개 처형을 당하게되며, 이들의 상태는 극도로 심각해지기도한다.
공격하는 사람은 일종의 쾌감을 느끼기도한다.
사이버 상에 공격적 댓글을 다는데 재미가 들린 사람은 습관적으로 댓글을 단다.
하지만 댓글을 실명으로한다면, 습관적으로 공격적 댓글을 다는 사람은 비난을 받을 것이다.
비록 사이버 상이 아니더라도, 사회는 가십 거리가 없으면 재미가 없어지는 세상이 된다.
세상 사람 가운데에는 만나면 남의 얘기하고, 남의 세세한 것까지 흉보는 재미로 사는 사람들이 있다.
이 모든 상황은 교회에서는 비교적 절제되어있으며, 많은 사람이 덕을 세우는데 앞장 선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 들어가보면 교회도 세상 못지 않다.
세상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교회는 달라야한다.
세상에는 진리가 없기에, 정죄하고 가십거리를 즐기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로마서 2장 1절에서 바울은 로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여기서의 판단은 심판하고 고소하고 정죄하는 성격을 지니고있다.
남을 판단하는 사람은 죄에 대한 개념을 잘못 가지고있기 때문이다.
교인들이 판단하고 정죄하는 대상은, 잘못된 행동 방식에 대한 것이다.
잘못된 행동 방식 때문에 잘못된 인간이라고 판단해서는 안된다.
인간이 죄인인 것은 행위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
인간은 죄를 짓는 행위 이전에 존재론적으로 죄인인 것이다.
죄인인 인간은 이미 정죄된 자이기에 남을 정죄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았다.
판단하고 정죄하는 일은, 일종의 죄를 정하는 재판관이 하는 일의 속성을 지니고있다.
재판하는 행위는 자신은 의롭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바울은 재판하는 행위 자체가 의롭지 못하다고 말한다.
표면적인 행위에서는 판단하는 사람이 판단하는 대상과 다를 수 있겠지만, 속성에 있어서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죄는 행위 이전에 존재의 속성에 대한 것이기에, 판단하는 사람이나 판단받는 사람이나 모두 한 가지 부류다.
남을 판단하는 사람은 표면적인 죄를 논하려고하지만, 하나님의 관심사는 좀 더 근본적인 내면의 죄에 대한 것이다.
남을 판단하는 이들의 존재론적인 죄와 행위로 인한 죄를 구분하는 잘못을 범하고있다.
이러한 구분은, 죄를 짓지 않는 자신은 의롭다는 것을 전제로한다.
이는 예수님께서 내면의 죄를 보지 못하고 정죄를 일삼는 바리세인들을 보고 회칠한 무덤이라고 칭하신 이유이다.
가나안의 이스라엘을 통해 드러난 사실은, 의로운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과, 그런데도 유대인들은 끊임없이 자기 의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인간의 근원적인 죄에 대한 것이다.
남을 판단하는 이들은 자신은 다르다고 생각하면서, 복음을 거부하거나 복음을 왜곡시킬 수 있다.
복음을 받아들여야 할 대상은 전적으로 부패한 인간 모두에게 해당된다.
인간이 전적으로 부패한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복음이 전적으로 부패한 인간의 존재론적인 것에 대한 것임을 인정하는 이들은, 결코 성경을 근거로 남을 정죄할 수는 없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인간의 행위 이전에 인간 존재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있는 것이다.
윤리적 기독교를 추구하는 이들은 인간의 본질보다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려는 경향이 있다.
새관점을 주장하는 톰 라이트는 “그리스도인의 미덕"이라는 책에서, 그리스도인이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 살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지만, 이는 인간이 얼마나 부패한 존재인지에 대하여 인식을 하지 못하고 하는 이야기이다.
기독교 윤리를 추구하는 많은 이들이 정죄에 앞장서면서 윤리를 말하고있지만, 이들의 신학에는 인간의 전적인 부패라는 개념이 없다.
교회의 부패는 행함의 실종이 아니라, 인간이 전적으로 부패한 존재라는 것에 대한 신학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다.
신학이 실종된 교회에서 아무리 윤리를 강조한다해도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다.
기독교 윤리를 말하는 이들은, 자신들은 사회적으로 모범적인 행동을 하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들의 행위는 하나님 보시기에 자기 의에 취해있는 유대인들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로마서 2장 1절에서의 바울의 경고는 인간의 전적인 부패를 부정하고 행위로 자신을 포장하려는 유대주의적 사고에 대한 경고이다.
정죄에 앞장서는 이들은, 인간이 얼마나 부패한 존재인지에 대한 인식을 망각하고, 복음을 행위에 관한 것으로 제한하려는 교만한 마음을 가진 이들이다.
복음은 행위론 이전에 존재론에 관한 것이다.
인본주의 신학자들이나, 윤리를 말하는 신학자들의 신학은, 존재론까지 들어가지 못한 행위로 귀결되는 신학들이다.
세상이 정죄하는 것과 교회에서 기독교인이 정죄하는 기준이 같다면, 이들의 행위는 세상과 다를 바가 없다.
복음은 정죄를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인 죄를 드러내고, 드러난 죄를 통해서 죄인을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부정적 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저주에 담겨있는 축복 (0) | 2020.01.21 |
---|---|
진리로 파멸에 이르는 사람들 (0) | 2020.01.16 |
인생은 허무할 수 밖에 없는가? (0) | 2019.01.19 |
비판과 공격에 대한 성도의 자세 (0) | 2018.10.14 |
부정을 통한 긍정의 위험성 (0) | 2018.03.03 |